Skip to main content Link Search Menu Expand Document (external link) Copy Copied

푸리에 시리즈 (연속시간)

작성일 : 2023년 03월 05일 (Sunday)

Table of contents
  1. 푸리에 시리즈
    1. 푸리에 시리즈에서 복소 정현파를 사용하는 이유 (페이저)
      1. 함수의 내적을 이용한 $c_k$ 유도
    2. 부분 합 ($S_{N}$)
      1. 부분합의 수렴 (디리클레 (Dirichlet) 조건)
        1. 깁스 현상 (Gibbs Phenomenon)

푸리에 시리즈

주기함수를 아래와 같이 삼각함수의 가중치로 분해하여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 신호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푸리에 시리즈를 이용하여 주기함수를 정현파의 합으로 분해
푸리에 시리즈를 이용하여 주기함수를 정현파의 합으로 분해
주파수 스펙트럼의 예시
주파수 스펙트럼의 예시

아래는 주기가 T인 함수 f(t)를 푸리에 시리즈로 표현한 것이다. $\backsim$는 $x(t)$가 푸리에 시리즈와 같지는 않지만 근사하다는 뜻이다. 아래 (1), (2)는 복소 정현파를 오일러 공식을 이용해 각각 $\cos(\theta)$, $\sin(\theta)$에 대해 정리한 것이고, (1), (2)를 $f(t)$의 푸리에 시리즈에 대입하면 (3)식이 얻어진다.

$$ f(t) \backsim a_0+\sum_{k=1}^\infty a_k\cos\left(\frac{2\pi k t}{T}\right)+\sum_{k=1}^{\infty} b_k \sin\left(\frac{2\pi k t}{T}\right) $$

$$ \cos(\theta) = \frac{\exp(j\theta)+\exp(-j\theta)}{2} \tag{1} $$

$$ \sin(\theta) = \frac{\exp(j\theta)-\exp(-j\theta)}{2j} \tag{2} $$

$$ f(t) \backsim a_0+\sum_{k=1}^{\infty}\left(a_k\frac{\exp\left(j 2\pi k t/T\right)+\exp\left(-j2\pi k t/T\right)}{2}+ b_k\frac{\exp\left(j 2\pi k t/T\right)-\exp\left(-j 2\pi k t/T\right)}{2j}\right) $$

$$ =a_0+\sum_{k=1}^{\infty}\left(\frac{a_k-jb_k}{2}\exp\left(j\frac{2\pi k t}{T}\right)+\frac{a_k+jb_k}{2}\exp\left(-j\frac{2\pi kt}{T}\right)\right) $$

$$ = \sum_{k=-\infty}^{\infty}c_k\exp\left(j\frac{2\pi k t}{T}\right) \tag{3} $$

$$ c_k = \begin{cases}\frac{1}{2}(a_k-jb_k),&& k >0 \\ a_0, && k = 0\\ \frac{1}{2}(a_k+jb_k), && k < 0 \end{cases} $$

$$ c_k = \frac{1}{T}\int_{0}^{T}f(t)\exp\left(-j\frac{2\pi k t}{T}\right)dt $$

Analysis Equation

$$ f(t)=\sum_{k=-\infty}^{\infty}c_k\exp\left(j \frac{2\pi k t}{T}\right) $$

Synthesis Equation

푸리에 시리즈에서 복소 정현파를 사용하는 이유 (페이저)

함수의 내적을 이용하면 두 함수 간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주파수가 다른 두 복소 정현파의 내적은 항상 0(직교)이기 때문에 푸리에 시리즈에서 정현파를 기저신호로 사용한다.

$$ \lt f(t), g(t) \gt = \int_{a}^{b}f(t)g^*(t) dt= 0 $$

함수의 내적

$$ \lt \exp\left(j\frac{2\pi at}{T}\right), \exp\left(j\frac{2\pi bt}{T}\right)\gt $$

$$ =\int_{0}^{T}\exp\left(j\frac{2\pi at}{T}\right)\exp\left(-j\frac{2\pi bt}{T}\right)dt $$

$$ =\int_{0}^{T}\exp\left(j\frac{2\pi (a-b)t}{T}\right)dt = \int_{0}^{T}\exp\left(j\frac{2\pi kt}{T}\right)dt $$

$$ = \frac{T}{j2\pi k}\left|\exp\left(j\frac{2\pi k t}{T}\right)\right|_{0}^{T}=\frac{T}{j2\pi k}(\exp(j2\pi k) - \exp(0)) = \frac{T}{j2\pi k}(1-1) = 0 $$

주파수가 다른 복소 정현파의 내적

이 직교하는 $\sin$과 $\cos$ 두 정현파를 복소수에 대한 벡터로 나타냈을 때 서로 선형독립관계에 있어서 벡터공간을 만들기 때문에 푸리에 시리즈를 벡터공간에 맵핑할 수 있는데, 이 것이 바로 페이저다. 페이저를 사용하면 길이가 무한한 주기가 동일한 함수를 유한한 크기의 원에 회전시켜 감아서 표현하여 한 눈에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소 정현파를 사용한다. 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글을 차분히 끝내고, 다음 글인 푸리에 변환을 참고하길 바란다.

함수의 내적을 이용한 $c_k$ 유도

함수의 내적($\lt f(t), \exp\left(j\frac{2\pi p t}{T}\right)\gt$)을 이용하면 $c_k$를 계산할 수 있다.

부분 합 ($S_{N}$)

하지만, 현실적으로 끝이 없는 무한대의 삼각함수를 모두 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감안하고 부분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부분합은

$$ S_{N}(f) = \sum_{n=-N}^{N}{c_{n}\exp\left({\frac{2\pi njt}{N}}\right)} $$

푸리에 시리즈 부분합

푸리에 시리즈 부분합 예시
푸리에 시리즈 부분합 예시

부분합의 수렴 (디리클레 (Dirichlet) 조건)

푸리에 시리즈의 부분합을 실제로 사용하려면 수렴 조건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의 수렴은 Limit 값을 취해서 특정 값으로 수렴한다는 의미는 아니고, 부분합 $S_N$이 f(x)에 거의 근접한다는 말로 사용된다. 함수열(Sequence of functions)의 수렴은 Pointwise Conversion(점별 수렴), Uniform Conversion(균등 수렴)으로 구분된다.

$$ S(x) = \lim_\limits{M \to \infty} S_N (x) $$

$$ S_N (x) = \frac{a_0}{2} + \sum_{n = 1}^{N-1}(a_n{\cos{nx}}+b_n{\sin{nx}}) $$

$$ f(x) = \frac{a_0}{2} + \sum_{n = 1}^{\infty}(a_n{\cos{nx}}+b_n{\sin{nx}}) [a < x < b] $$

디리클레 조건을 만족하면 수렴조건을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디리클레 조건이란 단가함수이면서, 유한개의 불연속점을 가지고, 절대 적분가능 (유한한 에너지) 함을 말한다.

$$ \int_{-\infty}^{\infty}|f(x)|dx < \infty $$

절대적분가능 조건

깁스 현상 (Gibbs Phenomenon)

Piecewise Smooth 함수에도 푸리에 시리즈의 부분합 개념을 적용할 수 있지만 불연속점에서 깁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깁스 현상이란 불연속점에서 푸리에 합의 오버슛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Piecewise Smooth 함수
Piecewise Smooth 함수
깁스 현상 예시
깁스 현상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