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및 용어
작성일 : 2025년 04월 05일 (Saturday)
Table of contents
컨버팅의 기본 원리
컨버터의 분류
크게 절연형과 비절연형으로 구분된다. 절연형은 토폴로지에 변압기가 사용되는 형태로 1차측이나 2차측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더 이상 전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고장전파를 방지하기에 효과적이고, 비절연형은 고장시에도 계속해서 전력이 공급될 수 있지만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설계가 100% 완전할 수는 없고 모든 회로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회로 내에서 단순히 정해진 동작만 하도록 설계된 컨버터들은 비절연형이 많이 쓰이고, 파워 서플라이처럼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변압기가 적용된 절연형이 많이 사용된다.
절연구분 | 목적 | 양방향 출력 가능 여부 | |
---|---|---|---|
Buck | 비절연 | 강압 | 불가능 |
Boost | 비절연 | 승압 | 불가능 |
Buck-Boost | 비절연 | 강압/승압 | 가능 |
Cuk | 비절연 | 강압/승압 | 가능 |
Forward | 절연 | 강압 | 불가능 |
Active Clmap Forward | 절연 | 강압 | 불가능 |
Active Clmap Flyback-Forward | 절연 | 강압 | 불가능 |
FB (Full-Bridge) | 절연 | 강압 | 불가능 |
Flyback | 절연 | 강압/승압 | 불가능 |
Push-Pull | 절연 | 강압/승압 | 불가능 |
핵심용어
소프트 스타트
컨버터는 초기에 변압기, 인덕터 자화 전류, 커패시터 초충 전류 등에 의해 인러쉬 전류가 발생할 수 있어서 게이트 PWM 제어 신호의 듀티를 조금씩만 증가시켜 가며, 컨버터의 소손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소프트 스타트라고 한다.
소프트 스탑
컨버터는 종료시 갑자기 스위치를 OFF 시켜버리면 전류가 급변하며 스파이크 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격한 전류 변화에 의한 스파이크 전압으로 과전압에 의해 소자가 망가지거나 EMI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천천히 듀티를 줄여나가야 한다. 이를 소프트 스탑이라고 한다.